안녕하세요.
홍쌤의 상담교실 홍쌤입니다!
오늘 만나볼 인물은 바로 로저스입니다.
[ 목차 ]
1. 로저스의 프로필
2. 로저스의 가족관계
3. 심리학에 관심을 가지기 전 로저스
4. 심리학자 로저스
1.
로저스의 프로필

로저스는 진실성, 공감적 이해, 무조건적인 긍정적 존중을 상담자가 갖춰야할 3가지 태도라고 이야기합니다.
이러한 로저스의 상담자의 태도에 공감하는 상담자들이 많으며, 로저스의 정신을 잇기 위해 공부하는 상담자들도 많습니다.
많은 상담자들이 존경하는 로저스! 그는 어떤 삶을 살았을까요?
지금부터 로저스의 삶으로 들어가보도록 하겠습니다.

로저스의 풀 네임은 칼 로저스입니다.
그는 미국에서 충생하여 컬럼비아대학교에서 공부하였으며, 심리학자, 대학교수로 활동하였던 인물입니다.
2.
로저스의 가족관계

간략한 로저스의 가계도를 살펴보면 로저스는 5남 1녀 가정에서 4째로 태어났습니다.
로저스의 부모님은 모두 대학교 교육을 받았고 아버지는 전국 프로젝트를 관리하는 성공한 토목기사셨으며, 어머니는 독실한 기독교 인이었습니다.

로저스의 가족분위기는 어땠을까요??
로저스의 가족 구성원들은 유대감이 높았고 기독교 정신과 함께하는 가정이었습니다.
종교적인 분위기로 인해 춤, 술, 게임은 금지하였기 때문에 가족끼리는 잘 어울렸지만 다른 사람들과는 잘 어울리지 못하였습니다.
즉, 로저스의 가족분위기를 크게 두가지로 정리할 수 있습니다.
1. 종교를 바탕으로 한 엄한 가정 분위기
2. 다른 사람들과 잘 어울리지 못 한다. 고 표현할 수 있습니다.
3.
심리학에 관심을 가지기 전 로저스

로저스는 어떻게 심리학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을까요?
로저스가 12살 때 부모님께서 시카고에서 30마일 떨어진 농장을 구입해 그곳에 정착하게 되었습니다.
이때 자연, 나방 등을 관찰하면서 농업과 과학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하였습니다.
이러한 관심을 통해 1919년도에 위스콘신 대학에서 농업공부를 하기 시작하였습니다.
로저스는 농업공부를 통해 과학적인 방법으로 농장을 경영하길 원했습니다.
대학 생활을 하던 준 YMCA에 가입하게 되었습니다.
그 곳에서 만난 험프리 교수님은 스스로 자기 결정을 중시하고 전통적인 리더 역할을 거부하였습니다.
그의 자유로운 사고와 감정은 로저스에게 큰 영향을 미쳤고 이상주의 기독교에 관심을 가지게 하였습니다.
이러한 관심을 통해 로저스는 진보적인 성향의 유니온 신학대학에 입학하게 됩니다.
부모님께서는 보수적인 신앙을 가진 목사가 되길 바라셨지만 로저스는 “단지 목서로서의 전문직을 유지하기 위해, 믿음을 고백하는 것은 끔찍한 일일 것이다. 나는 사고의 자유를 제한 받지 않는 분야를 찾기를 원한다”는 말을 하며 뉴욕생활을 시작하게 됩니다.
유니온 신학대학에서 공부하던 중 옆에는 ‘콜롬비아 대학’이 있었고 그 곳에서 심리학 영역의 강좌를 수강하게 됩니다.
로저스는 그 당시 막 등장한 심리학과 정신과학에 관한 강의에 매료되었고 아이들을 상담하는 일에 관심을 갖기 시작합니다.
이로 인해 로저스는 콜롬비아 대학 대학원 심리학 전공을 수료하였고 자신의 관심분야인 아동상담 분야에서 일을 하게 되었습니다.
4.
심리학자 로저스

심리학자로서 로저스를 한 번 살펴보겠습니다.
로저스는 1928~1939년 약 12년 동안 뉴욕주 로체스타에 위치한 아동생활지도 클리닉에서 근무하였습니다.
근무하는 중에 ‘구성요소방법’을 창안하였고 <문제아동의 임상적 치료>를 출간하였습니다.
그러다 1940년부터 4년간 오하이오주 주립대학교에서 심리 교수로 활동하였습니다.
상담의 다양한 접근법을 섭렵하며 연구와 강의에 더욱 박차를 가했습니다.
뿐만 아니라 더 새로운 치료들을 명명하고 <상담과 심리치료>를 출간하였습니다.
<상담과 심리치료>는 베스트셀러로 선정되기도 하였습니다.
1945년부터 12년간 시카고 대학 교수와 카운슬링센터를 운영하며
교수, 상담자, 행정가 등 다양한 역할을 하였습니다.
이 시기에 로저스는 심리치료 뿐만 아니라 다른 분야에도 내담자 중심접근을 적용하기 위해 노력하였고,
‘결혼과 가족’, ‘목회심리학’등 당양한 분야의 논문을 저술 하였습니다.
1957년에부터 7년간 위스콘신대학에서 교수로 활동하였습니다.
이 시기 로저스가 가장 전문적인 생활을 한 시기입니다.
로저스는 정신분열증 환자 치료를 위해 ‘진실성’, ‘공감적 이해’, ‘무조건적 긍정적 존중’을 제시하였습니다.
이 3가지는 현재 상담자가 가져야할 태도로 많이 알려져있습니다.
(* 연도가 정확하지 않을 수 있으니, 흐름을 위한 참고용으로 봐주세요~)

이렇게 다양한 대학교에서 대학 교수 생활을 하고 지냈지만 교육정책에 대해 대립된 생각을 가지며 대학교수 생활에서 벗어나 ‘참만남집단 운동에 깊이 관여’하게 되었습니다.
1964년에는 서부행동과학연구소에서 활동하며 ‘참만남 집단 운동에 깊이 관여’하였으며, 1968년에는 ‘인간 연구센터’를 설립하게 됩니다.
1977년부터는 미국 뿐만 아니라 세계 곳곳에서 강연, 워크숍을 다니며 인간중심접근법을 전파하기 위해 노력하였습니다.
1985년에는 ‘중앙아메리카의 도전에 관한 합숙회의’를 통해 17개국 영향력있는 지도자들을 한자리에 모이게 하여 세계평화의 보존과 핵 갈등의 회피에 대해 철저하게 관여할 것을 밝혔습니다.
이러한 노력덕분에 1987년에는 노벨평화상 후보로 지명되기도 하였습니다.
하지만 이 해에 로저스는 넘어져 둔부 골절상으로 사망하게 됩니다.

로저스가 보수적인 종교를 추구하고 그 길로 가길 원하는 부모님께 “단지 목사로서의 전문직을 유지하기 위해, 믿음을 고백하는 것은 끔찍한 일일 것이다. 나는 사고의 자유를 제한 받지 않는 분야를 찾기를 원한다”고 밝혔습니다.
로저스가 추구한 자유와 제한 받지 않음을 통해 비지시적인 상담이 완성되었다고 생각합니다.
저 또한 상담자로서 한 개인이 다른 한 개인의 자유를 억압하고나 한계를 설정하지 않고 존중해주는 로저스의 정신에 뜻을 함께 하고 싶습니다.
'Study > 심리학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에이브러햄 매슬로우] EP1. 생애 (+프로필) (0) | 2021.09.22 |
---|---|
[에릭 에릭슨] EP1. 생애 (+프로필) (0) | 2021.09.20 |
[알프레드 아들러] EP1. 생애 (+프로필) (0) | 2021.09.13 |
[칼 구스타브 융] EP1. 생애 (+프로필) (0) | 2021.09.08 |
[지그문드 프로이트] EP1. 생애 (+프로필) (1) | 2021.09.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