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y/ADHD 아동, 청소년

[ADHD 11] ADHD 자녀를 둔 부모가 가져야 할 태도

윤_토피아 2023. 6. 29. 05:30
반응형

안녕하세요.

아이들의 마음을 함께 공부하는 홍쌤입니다.

 

지난 포스팅에서는 '우리 아이는 어떤 ADHD 유형일까?'에 대한 주제를 다뤘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ADHD 자녀를 둔 부모가 가져야 할 태도에 대해서 이야기 나눠보도록 하겠습니다.

 

 

"ADHD 자녀를 둔 부모가 가져야 할 태도"

ADHD 아동의 특성을 잘 이해하고 인식하기

ADHD 자녀를 둔 부모님께서는 ADHD 아동이 어떤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우리 아이는 어떤 특성을 가지고 있는지 고민하고 아이의 특성을 잘 이해하고 있어야 합니다.

ADHD 아동의 주의력 결핍, 과잉 행동, 충동성은 아이가 의도가 아닌 아이가 가지고 있는 ADHD 특성임을 명확하게 인식하고 있어야 합니다.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충동성이 아이의 의도라고 생각하는 순간 아이와의 관계가 망가질 수 있습니다.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충동성의 특성임을 정확하게 인식하고, 우리 아이는 어떤 ADHD 유형을 가지고 있으며 어떤 특성을 가지고 있는지 이해하는 시간이 필요합니다.

 

▼ ADHD의 특성을 알고 싶다면, 아래의 포스팅을 함께 봐주세요 ▼

[ADHD 2] ADHD의 대표적 증상 알아보기 (tistory.com)

 

[ADHD 2] ADHD의 대표적 증상 알아보기

안녕하세요. 아이들의 마음을 함께 공부하는 홍쌤입니다. ADHD 1편에서는 ADHD가 어떤 질병인지 알아보았다면, 2편에서는 ADHD의 증상에 대해 조금 더 살펴보려고 합니다. ▼ ADHD가 어떤 질병인지 정

mindmoney.tistory.com

[ADHD 3] ADHD의 이차적 증상 알아보기 (tistory.com)

 

[ADHD 3] ADHD의 이차적 증상 알아보기

안녕하세요. 아이들의 마음을 함께 공부하는 홍쌤입니다. ADHD 2편에서 ADHD의 대표적인 증상인 주의력 결핍, 충동성, 과잉행동에 대해 알아보았다면, 3편에서는 ADHD의 대표적인 증상으로 인해 나

mindmoney.tistory.com

 

▼ 우리 아이가 어떤 ADHD 유형인지 알아보고 싶다면, 아래의 포스팅을 함꼐 봐주세요 ▼

[ADHD 10] 우리 아이는 어떤 유형의 ADHD일까? (tistory.com)

 

ADHD 아동의 강점 발견하기

ADHD 아동의 특성인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충동성으로 인해 가정에서는 양육의 어려움으로, 교사에게는 지도의 어려움으로, 친구들과는 갈등을 겪게 됩니다.

양육, 지도, 또래 관계의 어려움을 겪다 보면 ADHD 아동은 부정적인 피드백을 지속적으로 듣게 됩니다.

부정적인 피드백은 ADHD 아동의 자존감을 낮출 수 있고, 증상을 더욱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ADHD 아동의 강점을 발견해주고, ADHD 아동이 강점을 발휘하여 긍정적 피드백을 들을 수 있는 상황을 마련해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가정에서 먼저 아동의 강점을 발견해주는 것이 필요합니다.

ADHD 아동의 경우 관심사가 넓고 쉽게 주의가 분산되어 하고 있는 활동을 마무리하는 것을 어려워 합니다.

하지만 이러한 아이들은 관심사가 넓어 다양한 아이디어를 떠올리는 것에 강점을 가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ADHD 아동의 문제행동 이면에 어떤 강점이 숨어있는 지 발견해주는 것이 중요하고,

아동이 잘하는 것과 흥미를 가지고 있는 분야를 함께 찾아나가는 것이 중요합니다.

 

 

ADHD 아동의 교육에 대해 고민하기

ADHD 아동의 성향과 증상의 양상에 따라 어떻게 교육을 해야할 지 고민할 필요가 있습니다.

ADHD 아동에게는 명확하고 간결하게 알려주는 것이 중요하며, 집중이 어려운 ADHD 아동을 위해 학습 환경도 아동의 성향과 특성에 맞게 변화를 주는 것도 필요합니다.

또한, 현재 아이에게 사회기술능력의 발달이 필요한 것인지, 학습에 집중하는 것인지 등 필요한 부분에 대해 인지하고, 필요한 부분을 채워나가기 위해 교육해야 합니다.

10명의 ADHD 아동을 지도하는 방법은 10가지다라는 말이 있습니다.

우리 아이의 특성에 맞게 어떻게 양육하고 지도할 것인지 지속적으로 고민하고, 일관성 있게 교육을 진행해 나가야 합니다.

 

 

ADHD 아동과 소통하기

부모님께서는 ADHD 아동과 소통하기 위해서 노력해야 합니다.

ADHD 아동은 가정 뿐만 아니라 외부 상황에서도 부정적인 피드백을 많이 받았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아이의 입장에서 들어주고 어려움에 함께 공감해주는 것이 매우 필요합니다.

부모가 자녀의 이야기를 들어주고, 어려움을 함께 공감해주는 것은 아이들의 자아존중감을 형성하는데 큰 도움이 됩니다.

ADHD 증상으로 인해 공감과 이해를 받기 어려웠던 순간에서 벗어나 부모님께 공감과 이해를 받으며 자신을 인정받는 경험이 아동에게는 정서적으로 편안한 시간이 될 것입니다.

 

 

ADHD 아동과 함께 하면서 받은 어려움과 스트레스 관리하기

ADHD 아동은 기질적으로 예민한 아이들이 많습니다.

예민한 아이를 키운다는 것은 부모에게 많은 좌절과 고민을 경험하게 합니다.

ADHD 아동과 함께 하면서 받은 스트레스를 부모가 스스로 관리할 수 있도록 자신을 돌보는 시간을 갖는 것도 매우 중요합니다.

부모의 행복이 아이의 행복과 밀접한 연관이 있다는 것을 잊지 마시고, 부모의 자신의 마음을 돌보는 것을 소홀히 하지 않으셨으면 좋겠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ADHD 자녀를 둔 부모가 가져야 할 태도에 대해서 함께 알아보았습니다.

ADHD 아동의 특성을 이해하고, 양육 방법을 고민하여 아이의 강점을 찾아주세요.

 

 

다음 포스팅에서는 주의력 결핍형 ADHD 아동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 [ADHD 12] 주의력 결핍형 ADHD 아동 이해하기 ▼

 

반응형